![]() |
하천살리기 콘테스트 | 청소년 쇼미더리버 콘테스트 | 생명의강 사진공모전 | 한탄강·임진강 사진공모전 |
○ 콘테스트 신청분야
ㆍA조 - 민관거버넌스 사례
ㆍB조 - 물환경교육, 물문화 사례
ㆍC조 - 수생태보전 사례
ㆍD조 - 수질 및 비점오염 개선 사례
○ 하천살리기 예선 콘테스트 시상
A조 민관거버넌스 사례 예선 1등(1팀) - 환경부장관상
○ 하천살리기 본선 콘테스트 시상
1등(1팀) - 한탄강 생태관광 100% 지원, 환경부장관상
2등(1팀) - 한탄강 생태관광 80% 지원, 환경부장관상
3등(1팀) - 한탄강 생태관광 70% 지원, 연천군수상
4등(1팀) - 한탄강 생태관광 60% 지원, 한국강살리기네트워크상
5등(1팀) - 한탄강 생태관광 50% 지원, 한국강살리기네트워크상
○ 하천살리기 콘테스트 심사원칙
ㆍ온라인 심사 참여는 koreariver.or.kr 한국강의날 플랫폼 콘테스트 방에서 추진합니다.
ㆍ심사위원은 환경활동가, 전문가, 행정 등 다양하게 구성됩니다.
ㆍ오프 예선 콘테스트는 심사는 영상으로 모두 기록할 예정입니다.
ㆍ본선 콘테스트는 영상 발표 및 심사위원, 참여자 상호 질의응답으로 진행됩니다.
○ 하천살리기 콘테스트 심사기준 | |
하천보전 활동의 독특한 관점, 참신한 방식, 기발한 프로그램 평가 | |
강이 지역주민에게 사랑받고 있는가, 주민에게 직접 평가되고 있는 강 만 들기인가, 활동 이후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성과가 공유되고 있는가 | |
풍경이나 생활과의 관계, 인간의 삶과 관련한 인문․사회․경제․기술․공학적 측면에서 볼 때 얼마나 바람직한 하천보전 및 복원 활동인지를 평가 | |
하천이 직면한 문제에 대해서 적절한 대응을 했는가, 하천문제 해결이후 장기적 비전과 계획 혹은 대안들이 적절히 제시되었는가를 평가 | |
하천보전을 위한 교육, 캠페인, 모니터링, 정화활동 등에 얼마나 많은 주 체들이 특히 지역주민들의 참여와 변화과정 평가. | |
발표방식의 기본인 패널발표 이외에 노래, 춤, 공연 등의 간단한 퍼포먼스 등 영상우수성과 파급력, 확장성이 있을 경우 높은 호응을 얻을 수 있음. | |
파워포인터, 동영상, 연극, 노래 등의 시각적 자료와 영상적 언어를 발표 하면 운동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알리실 수 있습니다. | |
한 단체에서 많은 사람이 준비와 발표과정에 다 같이 참여할 경우 심사 위원 및 모든 참가자들로부터 높은 호응을 얻을 수 있음. |
※ 추가 안내 사항
ㆍ콘테스트 예선 신청 단체에게는 10만원의 발표비가 지급됩니다.
ㆍ강의날 대회는 강과 하천을 사랑하는 이들이 서로 격려하고, 지혜를 얻는 과정입니다.
ㆍ부족한 부분보다는 칭찬과 나아갈 방향과 핵심적인 가치와 관점을 공유하는 자리이므로,
콘테스트에 참가하는 모든 사례들은 어떤 경우에도 폄하되지 않습니다.
ㆍ심사위원들이 자신이 갖는 견해와 경험의 관점에서 활동 사례들을 평가합니다.
이따금 발표자가 심사위원의 평 때문에 상처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위 사항을 꼭 유념해주십시오.